♣공동주택관리♣/공사·하자처리

아파트 외벽 재 도장

탱수 2015. 1. 21. 15:24

[아파트 외벽 재도장]

1. 아파트 외벽 재 도장 공사

1) 재도장의 중요성과 자재 산정의 중요성

아파트 외부벽체, 특히 대기 중의 오염 물질(CO2, 산성비, 바닷가의 염해 등)과 빗물에 바로 접하는 아파트 외부벽체 부분의 재 도장 자재의 품질 선택은 매우 중요한 사안임.

도장의 역할은

첫째 - 아파트 구조체 보호기능

둘째 - 아파트 미관 기능

콘크리트 건물은 대기 중의 오염물질과 빗물이 스며들어 콘크리트를 노후화 시키고, 내부철근의 부식을 촉진시켜, 건물의 수명을 단축.

아파트의 노후화를 촉진시키는 것은 빗물의 대기 중 탄산가스가 균열에 스며들어 노후화(부식 또는 산성화)시키는 부분도 간과 할 수 없음.

이렇게 볼 때 외부 재 도장 자재는 콘크리트 고유성질인 빗물 흡수차단기능과 탄산가스 접촉 차단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물질의 제품을 선정.

2) 재 도장에 적합한 재료는?

재 도장에 적합한 도장재의 최적조건은 아파트가 기온변화에 따라서 수축, 팽창할 경우 균열이 추가로 발생하거나 이미 발생된 균열 폭이 증대 될 것이므로 이에 적응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고, 빗물 흡수를 차단하고, 탄산가스가 콘크리트 표면에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면서, 아름다운 색상이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는 것이 최적의 제품이다.

KS-1급과 2급의 탄산가스 차단기능과 빗물 흡수 방지기능, 곰팡이 억제 기능은 100% : 40%의 성능차이가 있으므로 외부 수성 페인트 KS-1급 품질의 제품으로 재 도장해야 차기 재 보수 시점까지 어느 정도 아파트 건물 보호기능을 수행 할 수 있습니다.

2. 외부 재 도장 도막이 들뜨는 문제점

아파트 외부 벽체의 균열을 보수한 다음 마감도색 자재의 품질 문제는 균열보수 자재 선정만큼이나 신경을 써야 할 사항입니다.

지금 까지는 고정 관념으로 재 도장 현장에는 무조건 수성페인트 2급을 도색해야만 재 도장 도막이 일어나거나 들뜨는 하자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단, 바탕 면 작업을 완벽하게 할 경우 1급 추천)

바탕 면이 부실한 표면에 접착력이 강력한 KS-1급 수성페인트가 재 도장 되면 불량 구도막이 일어나는 것은 당연 합니다.

모든 아파트 건물의 외벽에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아님.

구도막이 일어나는(박리되는) 부분을 세밀하게 관찰하면,

첫째 - 바탕처리 불량 부분. 표면이 불량한 부분의 바탕처리를 하면서 이미 박리되어 있는 부분을 남겨둔 상태로 대충 긁어내고 후속 재 도장을 진행하여 도막이 박리 되는 부분.

둘째 - 균열보수가 완벽하지 못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부분. 아파트 구조체의 균열을 통하여 빗물이 계속 스며들 경우 콘크리트 속 시멘트의 알칼리성 물질과 대기 중의 각종 유해물질이 수성페인트 도막 하부에 접촉하여 수성페인트 도막을 부식시켜 부풀게 작용하기 때문에 박리현상이 나타남.

결론 - 재 도장 후 박리되는 현상은 수성페인트 KS-1급을 사용함으로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바탕처리의 불량이나 균열보수가 미비한 곳의 누수현상 때문에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3. 재 도장 시 하도재로서 믹싱도포 문제점

모든 수성계의 도장재는 유리에 물을 뿌리면 방울이 맺히는 것처럼 표면 장력을 가지고 있다.

표면 장력을 없애지 않으면 아파트 외벽 표면에 평탄하게 도장되지 않는다.

표면 장력을 없애기 위하여 계면활성재을 첨가하게 되는데 믹싱 제조 시에는 특히 많은 량을 첨가 한다.

아파트 재 도장 시 믹싱 도포 후 계면활성재가 도막 표면에 떠올라서 불안정한 탄성피막을 형성한다.

이것은 물로 세척하거나 공기 중에서 오랜 기간이 경과하면 증발하여 날아간다.

아파트 외벽 표면의 계면활성재가 세척되거나 공기 중에 분해된 다음에 수성페인트를 재 도장하면 수성페인트 도막에 아무런 영향이 없으나, 작업현장 여건상 믹싱도포 후에 연달아 수성페인트를 재 도장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 한다.

수성페인트 도막하부에 갇힌 불안정한 얇은 탄성피막(비닐)상태인 계면활성제 피막이 기온변화에 따라 변형을 시작하면, 그 표면에 딱딱한 물성의 수성페인트 도막은 수 많은 미세조각으로 갈라진다.(미세균열 발생)

아파트 건물외부 벽체에서 수성페인트 기능이 미관기능과 탄산가스 차단 기능인데 도막이 갈라지면 탄산가스 차단기능을 상실하게 된다.(탄산가스 차단기능 상실하면 콘크리트의 부식이 촉진 됩니다.)

결론적으로 재도장의 부착성과 방수기능 향상을 위하여 하도재로서 믹싱을 도포한 것이 도리어 콘크리트의 부식을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 한다.

4. 수성페인트 1,2급의 차이

수성페인트(합성수지 에멀젼 페인트)의 주요 성분은 수지(Resin)입니다.

나무로 따지면 송진입니다.

이 수지 성분비의 함유량에 많이 들어 있는 것이 1급, 적은 것이 2급입니다.

KS 규정상 수지성분이 명시화 되어 있지 않고 <불 휘발 분>과 <안료 분>등의 비율로서 그 등급을 구분한다.

수지 성분비의 역할은 페인트의 부착력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

1급이 2급보다 50%이상의 부착력을 보인다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