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주택 관리에 관한 법제처 법령해석 자료입니다. 1. 질의요지 가. 입주자대표회의를 최초로 구성할 때 4명 이상의 동별 대표자가 확보되지 못한 경우, 「주택법 시행령」 제50조제1항 전단에 따른 입주자대표회의의 구성요건을 충족한 것으로 볼 수 있는지?
나. 「주택법 시행령」 제50조제1항 전단에 따라 입주자대표회의가 4명 이상의 동별 대표자로 구성된 후 그 일부가 궐위되어 일시적으로 3명이 된 경우, 입주자대표회의를 운영할 수 있는지?
2. 회답
가. 질의 가에 대하여
입주자대표회의를 최초로 구성할 때 4명 이상의 동별 대표자가 확보되지 못한 경우에는 「주택법 시행령」 제50조제1항 전단에 따른 입주자대표회의의 구성요건을 충족한 것으로 볼 수 없습니다.
나. 질의 나에 대하여
「주택법 시행령」 제50조제1항 전단에 따라 입주자대표회의가 4명 이상의 동별 대표자로 구성된 후 그 일부가 궐위되어 일시적으로 3명이 된 경우에도 입주자대표회의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입주자대표회의 4명에서 3명으로 줄었을때에도 운영가능.hwp
입주자대표회의 4명에서 3명으로 줄었을때에도 운영가능.hwp
0.02MB
입주자대표회의 4명에서 3명으로 줄었을때에도 운영가능.hwp
0.02MB
'♣공동주택관리♣ > 입주자대표회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500세대 이상인 공동주택의 경우 입주자대표회의 구성원 과반수 이상 선출되지 않아도 회장과 감사를 직접선거로 선출가능? (0) | 2015.07.15 |
---|---|
입주자대표회의 회의 후 실시하는 동별 대표자 식사비 적법성? (0) | 2015.07.03 |
입주자대표회의 구성신고수리 없이 의결 (0) | 2015.06.12 |
동별대표자 4명미만 선출시 (0) | 2015.05.27 |
아파트 선거구별 인구 편차? (0) | 2015.05.26 |